반응형
해마다 더워지는 여름, 체온 조절이 잘 안 되는 환경에서는 열사병과 일사병 같은 온열질환이 크게 늘어납니다.
특히 7~8월 폭염 시기에는 사망까지 이를 수 있어 정확한 구분과 신속한 응급처치가 중요합니다.
✅ 열사병 vs 일사병, 무엇이 다를까?
구분 | 열사병 | 일사병 |
원인 | 고온 환경에서 체온 조절 기능이 마비되어 체온이 40도 이상 상승 | 땀을 과도하게 흘려 수분·염분 손실로 인한 탈진 |
핵심 특징 | 의식 저하와 고열, 땀이 나지 않음 | 심한 피로감, 현기증, 땀이 많이 남 |
위험도 | 생명 위협 있음 (응급상황) | 생명 위험은 낮지만 방치 시 열사병으로 악화 가능 |
증상 | 혼란, 어지럼증, 의식 흐림, 경련, 피부가 뜨겁고 건조 | 두통, 구역질, 식은땀, 근육경련, 창백한 피부 |
체온 | 40도 이상 | 정상~약간 상승 |
✅ 이런 증상이 있다면 위험 신호!
🔴 열사병 의심 증상
- 체온이 40도 이상 급격히 상승
- 의식 혼란 또는 실신, 경련 발생
- 피부가 붉고 뜨겁지만 땀이 나지 않음
- 호흡이 빠르고 약해짐, 심한 두통
🟡 일사병 의심 증상
- 땀을 지나치게 많이 흘림
- 어지러움, 메스꺼움, 근육경련
- 극심한 피로, 차고 축축한 피부
- 맥박이 약간 빨라지고 갈증
✅ 열사병·일사병 응급처치법
1. 즉시 시원한 장소로 이동
- 그늘, 에어컨 있는 실내, 차량 안은 금지 (밀폐 공간 주의)
- 주변에 땅이 뜨거우면 돗자리나 옷 등으로 체온 전도 차단
2. 체온 낮추기
- 옷을 느슨하게 벗기고, 부채질 또는 선풍기 사용 통풍 잘 되게 하기
- 얼음팩 또는 젖은 수건으로 목·겨드랑이·사타구니 쿨링
- 얼음팩 활용 시 혈관 밀집 부위에 대기
- 생수병이 있다면 피부에 직접 부어도 좋음
3. 의식이 있다면 수분 보충
- 이온음료, 식염 포도당 음료 권장
- 물만 마실 경우 급하게 마시지 않도록 주의
- 의식이 흐릴 경우엔 절대 음료를 주지 말 것!
4. 의식 저하 시 즉시 119 신고
- 열사병은 골든타임 30분이 생사를 가릅니다
- 자가처치만으로는 회복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, 즉시 병원으로 이송
- 특히 다음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열사병 응급상황입니다:
- 의식이 혼미하거나 실신함
- 경련, 구토 반복
- 피부가 건조하고 땀이 없음
- 119에 신고 후, "열사병(또는 온열질환) 의심됩니다"라고 정확히 전달
- 구조대 도착 전까지 체온 낮추는 작업 계속하기
🚫 주의할 점
- 냉수욕이나 얼음물에 갑자기 담그는 건 금물!
→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면 오히려 쇼크를 유발할 수 있음 - 에어컨이 너무 강한 곳은 피하기
→ 심한 온도차로 저체온 상태가 될 수 있어요
✅ 기억하기 쉬운 3단계
1. 시원한 곳으로 → 2. 체온 낮추기 → 3. 119 신고
이 세 가지를 빠르게 실천하는 것만으로도 소중한 생명을 지킬 수 있습니다.
✅ 취약계층은 특히 주의하세요!
- 노인: 땀 배출 기능 저하, 갈증 느끼는 감각 감소
- 어린이: 체온 조절 능력이 미숙해 더 빠르게 위험
- 만성질환자: 당뇨, 심장질환자도 온열질환에 더 취약
- 야외 근로자, 운동선수, 캠핑족: 장시간 고온 노출 시 위험
✅ 폭염 대비 생활 수칙
- 야외 활동은 오전 10시~오후 5시 피하기
- 수분은 목마르기 전부터 조금씩 자주 섭취
- 외출 시 양산, 모자, 밝은 색 옷 착용
- 노약자 혼자 있는 공간은 자주 확인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