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대장내시경 받아 보셨나요?
고기 좋아하고 자주 먹고 40세가 지났다면 대장내시경을 받아보라고 하더라고요
그래서 저는 받았습니다. 다행히도 아주 깨끗하다고 하네요. 대장내시경을 받아 본 친구들은 용종제거를 했다는데 저는 없었습니다. 고기, 인스턴트는 좋아하는데 술과 담배를 하지 않는데 이 때문인가 싶습니다. 용종제거를 한 친구들은 술이든 담배든 둘 중 하나는 했거든요.
대장내시경 팁을 드리자면 위내시경도 함께 받으면 일타이피입니다. 저는 건강검진 위내시경 받을 때 사비로 대장내시경도 함께 받았습니다.
✅ 대장내시경은 언제 받아야 할까?
1. 연령 기준
- 만 50세 이상: 특별한 증상이 없어도 50세부터는 5~10년 간격으로 대장내시경을 권장합니다.
(대장암은 50세 이후 발생률이 급격히 높아집니다.) - 고위험군: 가족 중 대장암 환자가 있거나 대장 용종을 제거한 적이 있는 경우에는 40세 전후 또는 더 이른 시기부터 정기 검사가 필요합니다.
2. 증상이 있을 때
아래와 같은 증상이 있다면 연령에 상관없이 대장내시경 검사를 고려해야 합니다.
- 혈변, 흑색변(변에 피가 섞이거나 변 색이 검게 변한 경우)
- 배변 습관의 변화 (갑자기 변이 가늘어지거나, 변비·설사가 반복될 때)
- 만성적인 복통이나 복부 팽만
- 원인 모를 체중 감소, 빈혈
- 가족력이 있는 경우(대장암, 용종 등)
3. 정기 검진
- 50세 이후에는 증상이 없어도 정기적으로 검사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- 1차 검사에서 용종이 발견되면 의사의 권고에 따라 3~5년 주기로 더 자주 검사해야 합니다.
✅ 대장내시경 진료 과정
- 예약 및 상담
- 소화기내과(내과 중 대장·위 전문)에서 상담 후 검사 날짜를 정합니다.
- 복용 중인 약(항응고제, 당뇨약 등)은 검사 전 미리 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.
- 사전 준비 (장 청소)
- 검사 전날, 대장 내시경 전용 장정결제를 복용해 장을 깨끗이 비웁니다.
- 저잔사 식단(죽, 흰쌀밥, 맑은 국)으로 조절하고 씨가 있는 과일이나 김치 같은 섬유질 음식은 피해야 합니다.
- 검사 당일
- 진정제(수면 내시경) 또는 비수면 내시경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- 내시경을 항문으로 넣어 대장 전체를 확인하며, 필요시 용종 제거도 동시에 진행합니다.
- 검사 후 회복
- 진정제를 사용했다면 잠시 회복실에서 안정을 취한 뒤 귀가합니다.
- 검사 후 1~2일간은 가벼운 복부 팽만감이나 가스가 찰 수 있지만 대부분 자연스럽게 회복됩니다.
- 출혈이나 심한 복통이 지속되면 병원에 바로 연락해야 합니다.
✅ 대장내시경 비용과 보험 적용
1. 비용 범위
- 비수면 대장내시경: 약 6만 ~ 10만 원
- 수면 대장내시경: 약 10만 ~ 20만 원 (수면비 추가)
- 용종 제거 시: 조직검사, 용종 절제술 비용이 추가되며, 크기와 개수에 따라 수십만 원까지 올라갈 수 있습니다.
- 장청소용 약값은 별도
2. 건강보험 적용 여부
- 단순 검진 목적 대장내시경: 건강보험 적용이 되지 않아 전액 본인 부담입니다.
- 증상(혈변, 복통, 체중 감소 등)이 있거나, 용종·염증 진단 목적으로 시행할 경우 건강보험이 적용되어 본인 부담금이 줄어듭니다.
- 용종 제거, 조직검사 등의 치료 목적 시 보험 적용 가능 → 환자 부담은 대략 20~30% 수준.
3. 국가건강검진과 대장내시경
- 현재 국가검진 기본 항목에는 대장내시경이 포함되지 않고, 분변잠혈검사(대변검사)만 진행합니다.
- 대변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발견되면 대장내시경을 권유받으며, 이 경우 건강보험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.
✅ 대장내시경 꼭 받아야 하는 이유
- 대장암은 초기 증상이 거의 없어 발견이 늦어지기 쉽습니다.
- 대장내시경은 암으로 진행하기 전 단계인 용종을 미리 제거할 수 있어 예방 효과가 뛰어납니다.
- 특히 50세 이후에는 무증상이라도 정기적인 검진이 생명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.
- 50세 이상은 무증상이라도 정기적으로 대장내시경 필요
- 혈변, 변비·설사, 복통, 체중 감소 같은 증상이 있으면 나이에 상관없이 검사 권장
- 대장내시경 비용: 6만~20만 원대, 용종 제거 시 추가 비용 발생
- 건강보험: 검진 목적은 비급여, 치료 목적은 보험 적용 가능
- 검사 과정은 상담 → 장 정결 → 내시경 검사 → 회복 순으로 진행
- 조기 발견과 예방 차원에서 대장내시경은 가장 중요한 건강검진 중 하나
반응형